
서비스지원 만료된 CentOS 7 버전이 설치된 운영서버에 java17 을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.사실 OS 를 업그레이드 하여야 하지만 여러 사정에 의해서 못하는 경우도 많기에 EOS 된 이 구형서버에 java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본다. yum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는 java 버전을 검색해봤자java11 이 최신이다. 그 이상은 지원하지 않는다. 결국 java17 은 따로 받아서 설치해야 하는 상황 [root@localhost ~]# yum list java*Installed Packagesjava-1.7.0-openjdk.x86_64java-1.8.0-openjdk.x86_64java-11-openjdk.x86_64java-1.6.0-openjdk.x86_64... ✅ ..

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하다 보면 출근하여 PC를 부팅 후 아무 것도 하지 않았는데 내 개발 웹 포트가 사용중이라는 메세지를 마주할 때가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APPLICATION FAILED TO START***************************Description:Web server failed to start. Port 8080 was already in use.Action:Identify and stop the process that's listening on port 8080 or configure this application to listen on another port.Disconnected from the target VM, address: '..
vi 로 작성한 파일의 문자열 내용을 치환하고 싶을 때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. 예를 들어 '>>' 라고 입력한 부분을 '| tee -a' 라고 문서 전체에서 치환하고 싶을 때명령어 입력 상태에서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:1,$s/>>/| tee -a/g - 기존 파일#!/bin/bashecho "This is line 1" >> logfile.log - 변경된 파일#!/bin/bashecho "This is line 1" | tee -a logfile.log 일괄로 치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명령어에 대해 설명드리면, 다음과 같다.:1,$s/>>/| tee -a/g# 1,$ : 첫번째 라인부터 마지막 라인까지# s/>>/| tee -a : 대체하겠다 (substitute) '>..
서버간 운영시 생성되는 데이터를 NAS서버나 관련된 쪽에 쌓을때 주로 마운트해서 사용한다. 먼저 해당 서버로 핑이 가는지 확인을 한 후 원격지 공유서버를 마운트한다. mount -t nfs 198.126.0.100:/data/upload /home/upload 마운트 명령어 후 마운트 상황을 보면 아래와 같다. [root@localhost /]# df -h 198.126.0.100:/data/upload 4.6T 1.8T 2.8T 39% /home/upload 하지만 서버를 재부팅하게 되면 위의 마운트 정보는 해지된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해 /etc/fstab 파일에 작성해준다. [root@localhost /]# vi /etc/fstab #[1. 마운트장치][2. 마운트포인트] [3.파일시스템유형] [4..
서로 다른 리눅스 서버간 파일을 통째로 옮겨야 해서 scp (secure copy) 를 써보기로 했다.(얘 없었으면 ftp로 내컴에 옮긴담에 목적지 서버에 밀어 넣는 짓을 하고 있었겠지...? ㅋ) scp 대상파일 목적지ip:받을 디렉토리scp test.html 127.0.0.1:/home/test 파일을 보낼때 위와 같이 작성해주면 되는데scp 는 ssh 22 포트를 통해서 보내기 때문에 서버간 ssh 가 연결 되는지 확인 해줘야 됩니다. ssh -p 22 목적지IP ssh 명령어로 서버간 접속이 잘 되면 scp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을 바로 보내버립니다. 이제 저는 폴더채 전송을 했는데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.root@127.0.0.1's password:/usr..

보통 리눅스 서버에 초기에 셋팅을 해놓고 운영을 하다보면 웹관련 소스만 관리하지 서버에 관련된 것들은 관리하지 않게되는 불상사에 빠진다 ㅋ 리눅스 개발서버에 뭔가 셋팅을 하려고 보니 dnf 명령어가 안먹어서 설치가 안됐네 하고 yum을 호출했더니 다양하게 뭐 레파지토리 뭐 연결 실패, 레포를 찾을 수 없다는 등... 나는 많은 오류가 표출 되는 가운데 마지막 맨 아래에 이런 오류를 보게되었다. Cannot find a valid baseurl for repo: base/7/x86_64 서버 엔지니어가 아니다 보니 이건 뭐지 하고 찾아보니 네임서버 설정만으로 해결가능하다는 것을 보고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. [root@localhost /]# vi /etc/resolv.conf # Generated by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