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 

 

 



 

 

SpringBoot

 

 

 

프로젝트의 결과물이 거의 나옴에 따라 

운영서버에 배포해서 이것저것 보는 중에

이상하게 리소스파일들 (js, font, css ) 을 계속 로드해오는 것을 확인했다.

 

분명 로컬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현저한 속도저하를 느꼈다.

우씨 로컬에서도 느꼈으면 해결하고 배포했을 텐데...

 

 

뭐지 싶어 리소스들 response header 를 봤더니

cache-control이 죄다 no-store 로 되어있는 것이 아닌가...

 

no-store 는 캐싱을 하지 않겠다 이기 때문에 매번 리소스를 로드하게 된다.

 

 

 

리소스 캐시컨트롤 설정은 여러방법이 있는데

나는 간단한 것을 좋아하여

application.yml 에 리소스 캐시 설정을 추가했다.

 

spring:
  web:
    resources:
      cache:
        cachecontrol:
          no-cache: true

 

 

 

다시 재배포를 한 후 확인하니 현저하게 속도가 빨라진 것을 확인했다.

6.5s 걸리던 리소스가  400ms 까지 떨어졌으니 말이다. 😂🤣

 

 

이 외에도 캐시 기간을 설정해서 평상시에는 브라우저 캐시를 사용하고

배포시에만 다시 로드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되겠다.

 

 

 



 

 

 

 

참고블로그
 

[Spring Boot] 정적자원 캐싱하는방법

Intro 가족들이 필요로해서 만들었고, 운영한지 이제 한 2년정도 된 스프링부트로 만든 토이 프로젝트가 있다. 리액트를 필두로 몇년째 이어지는 프론트엔드 춘추전국시대에 특별히 마음에 들거

shanepark.tistory.com

 

반응형
댓글
반응형
최근에 올라온 글
«   2024/06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Total
Today
Yesterday